지방직 영어 출제 해부 |
영역 |
출제유형 |
문항수 |
총 문항 |
어휘, 숙어, 회화, 문법 |
어휘 |
2 |
9문제 |
숙어/표현 |
2 |
회화 |
2 |
문법 |
3 |
독해 |
주제 |
1 |
11문제 |
일치/불일치 |
3 |
빈칸추론 |
4 |
삽입 |
1 |
무관한 문장 |
1 |
순서 |
1 |
서울시 영어 출제 해부 |
영역 |
출제유형 |
문항수 |
총 문항 |
어휘, 숙어, 회화, 문법 |
어휘 |
4 |
11문제 |
숙어/표현 |
1 |
회화 |
1 |
문법 |
5 |
독해 |
주제 |
1 |
9문제 |
일치/불일치 |
1 |
빈칸추론 |
4 |
삽입 |
1 |
무관한 문장 |
1 |
순서 |
1 |
지방직 영어어휘와 문법, 숙어에서는 대체로 평이하게 출제되었으나 논리적 통일성을 찾는 문제들 -빈칸추론 4문제, 순서 맞추기(1), 무관한 문장 찾기(1), 주어진 문장을 알맞은 곳에 넣는 문제(1)- 때문에 다소 까다롭게 느껴졌으리라 생각된다. 독해에서는 출제 가능한 모든 유형(주제, 일치불일치, 빈칸, 삽입, 순서, 무관한 문장)의 문제가 출제되었고 난이도와 관계없이 지문 자체가 길게 출제되어 시간 압박을 느낀 수험생이 많았던 것으로 보인다.
차후 수험생들은 어휘와 문법은 물론이고 독해지문을 매일 꾸준히 보면서 문제 유형별 독해, 막독해가 아닌 추상적이고 어려운 글이더라도 정답을 정확하게 찾을 수 있는 연습을 해야 한다.
정확하게 정오답을 가릴 수 있는 독해도 결국은 어휘력과 문법이 바탕이 되어야 가능한 것이기 때문에 어느 한 부분에 치중하는 학습편식을 버리고 꾸준히 시간을 두고 준비를 해야할 것이다.
서울시 영어시험은 다소 어렵게 출제되었다. 한 두번을 제외하고 대체로 어렵게 출제되었던 서울시 영어는 올해도 생소한 어휘에 빈칸 유형으로 대거 출제되어, 고난이도 어휘를 습득하지 못한 수험생이었다면 단지 문맥의 추론만으로는 풀기가 쉽지 않았을 것으로 생각된다. 독해 또한 빈칸 유형이 많이 출제되었고 빈칸추론 4문제와 논리적 통일성 3문제가 수험생들을 힘들게 했을 것으로 판단된다. 수험생들이 많이 어려워하는 연결어 삽입 문제나 순서 나열의 문제는 평이하게 출제되었고, 사실상 어휘 문제를 얼마나 맞히느냐에 따라 점수 차이가 크게 벌어질 것으로 보인다.
이번 시험은 문법 뿐 아니라 독해, 어휘까지 모두 깊이 있는 준비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는 시험이었고, 차후 수험생들은 어휘와 문법을 꾸준히 공부하고 (1) 큰 정보 파악, (2) 작은 정보 파악, (3) 논리적 통일성 문제에 대한 리딩 스킬을 늘릴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할 것이다. 공무원 영어 시험이 점점 지문이 길어지고 추상적인 글이 많아지고 있기 때문에 이번 서울시 문제가 난이도는 다소 높았지만 이러한 최신 출제 경향을 반영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리고 문제의 질이 좋았다는 점에서 다음 시험에 도전하는 수험생들에게도 이번 기출문제는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수험생들은 이론 정리에만 급급할 것이 아니라 기출 분석과 출제 수준 이상의 것까지 준비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