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 2019년 | 2018년 | 2017년 | 2016년 | 2015년 | 2014년 | 2013년 | |
---|---|---|---|---|---|---|---|---|
서울시 | 6월 13일 | 6월 15일 | 6월 23일 | 6월 24일 | 6월 25일 | 6월 13일 | 6월 28일 | 8월 24일 |
지방직 | 5월 19일 | 6월 17일 | 6월 18일 | 6월 27일 | 6월 21일 | 7월 27일 | ||
간호사 국가고시 |
60회 국가고시 | 59회 국가고시 | 58회 국가고시 | 57회 국가고시 | 56회 국가고시 | 55회 국가고시 | 54회 국가고시 | 53회 국가고시 |
활 동 |
코로나19 피해지원성금 |
깊이가 다른 강의 |
간호학 강연 |
기부 캠페인 |
대의원 총회 |
2회 널싱런대회 세계간호사대회 국제간호협의회 | 1회 널싱런대회 |
간호 정책선포식 |
[뉴스] 비만하면 폐 기능도 감소한다 | ||
---|---|---|
올린이: 관리자 | 조회: 4,686 | |
<비만하면 폐 기능도 감소한다> 비만하면 폐 기능이 떨어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여성의 비만이 폐 기능 저하에 더 큰 영향을 미쳤다. 3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따르면, 차의과대 분당차병원 가정의학과 전혜진 교수팀이 2015∼2017년 분당차병원 건강증진센터에서 건강검진을 2년 연속 받고 신체 계측과 폐 기능 검사(PFT) 결과가 있는 사람 5,032명을 대상으로 체중과 폐 기능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이번 연구결과(체중 및 체질량지수 차이에 따른 폐 기능과의 연관성)는 ‘대한건강증진학회지’ 최근호에 소개됐다. 전 교수팀은 폐 기능 검사 결과 중 FVC(숨을 최대로 마신 후 내 쉰 공기량)와 FEV 1 결과를 주로 이용했다. FEV 1은 최대 노력으로 1초간 내쉰 공기량을 가리킨다. 이를 토대로 FEV 1/FVC를 구했다. FEV 1/FVC는 기도의 폐쇄성 유무를 나타낸다. 세기관지의 기능을 보여주는 FEF 25~75%(FVC의 25~75%에 해당하는 공기의 흐름) 결과도 폐 기능 상태 파악에 썼다. 체중이 2년 새 이렇다 할 변화가 없거나 늘어난 여성에선 FEV 1/FVC와 FEF 25-75%가 감소했다. 비만의 척도인 체질량지수(BMI)가 2년 새 변화가 없거나 증가한 여성의 FEV 1/FVC와 FEF 25-75%가 줄어들기는 마찬가지였다. 전 교수팀은 논문에서 “이 결과는 여성의 체중ㆍBMI의 증가가 폐 기능의 폐쇄성에 나쁜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으로 풀이할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2년 새 체중이 증가한 남성에선 FEV 1이 낮아졌다. 전 교수팀은 “비만도의 변화가 FVCㆍFEV 1 등 폐 기능 관련 검사 결과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면서, “비만의 적절한 관리가 폐 기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라고 지적했다. 한편, 비만은 고혈압ㆍ이상지질혈증ㆍ당뇨병ㆍ심장병ㆍ뇌졸중 등 만성 질환 뿐 아니라 호흡기 질환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체중 조절에 실패하면 발생하기 쉬운 폐 기능 장애는 저환기 장애ㆍ폐색성 수면 무호흡증ㆍ천식 등이다. 비만에 따른 흉강ㆍ복강의 지방 축적으로 인해 호흡의 기계적 기능에 떨어지고 호흡 시 소모되는 산소 소비가 늘어날 수도 있다. |
“뿌리 깊은 나무는 흔들리지 않습니다.”
간호교육연수원은 1998년부터 간호직만을 교육해온
‘진짜 전문가’라는 자부심으로 여러분과 함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