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 2019년 | 2018년 | 2017년 | 2016년 | 2015년 | 2014년 | 2013년 | |
---|---|---|---|---|---|---|---|---|
서울시 | 6월 13일 | 6월 15일 | 6월 23일 | 6월 24일 | 6월 25일 | 6월 13일 | 6월 28일 | 8월 24일 |
지방직 | 5월 19일 | 6월 17일 | 6월 18일 | 6월 27일 | 6월 21일 | 7월 27일 | ||
간호사 국가고시 |
60회 국가고시 | 59회 국가고시 | 58회 국가고시 | 57회 국가고시 | 56회 국가고시 | 55회 국가고시 | 54회 국가고시 | 53회 국가고시 |
활 동 |
코로나19 피해지원성금 |
깊이가 다른 강의 |
간호학 강연 |
기부 캠페인 |
대의원 총회 |
2회 널싱런대회 세계간호사대회 국제간호협의회 | 1회 널싱런대회 |
간호 정책선포식 |
[뉴스] 공공보건기관 간호사 10명중 4명이 비정규직 | ||
---|---|---|
올린이: 관리자 | 조회: 4,270 | |
공공보건기관 간호사 10명중 4명이 비정규직 2017보건간호인력통계 분석 결과, 비정규직이 38% 대한간호협회 산하 보건간호사회의 ‘2017 보건간호인력 통계‘에 따르면 전국 보건소, 보건지소 등 공공보건기관에서 일하는 전체 간호사 8천816명중에서 약 38%인 3천349명이 비정규직이다. 공적인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공보건기관에서 조차 10명중 4명이 안정적인 고용이 보장받지 못한 상태로 근무한다는 것이 큰 문제로 지적 받고 있다. 고령화 시대를 맞아 간호인력의 방문 건강관리 서비스가 더욱 증가할 것으로 보이는 만큼 이들에 대한 고용 안정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시도별로 보면 제주특별자치도가 62%로 전국에서 비정규직 비율이 가장 높았다. 부산 54.9%, 인천 53.6% 서울 48.9% 등으로 나타났다. 이들 지역은 절반 이상이 비정규직으로 업무 연속성 조차 확보하지 못한 상태로 문제의 심각성은 더욱 크다고 볼 수 있다. 공공보건기관 간호사는 주민의 건강증진, 보건교육, 예방접종, 결핵 관리, 모자보건, 만성 질환 관리 등 주민들의 건강과 직간접적으로 연관이 있는 분야이기에 안정적인 고용이 필요하다는 것이 보건간호사회 측 주장이다. 보건간호사회는 “ 지역 주민의 건강 증진을 목적으로 하는 보건소의 역할을 강화하려면 간호 인력의 고용 안정화 대책이 절실하다."고 강조하였다. |
“뿌리 깊은 나무는 흔들리지 않습니다.”
간호교육연수원은 1998년부터 간호직만을 교육해온
‘진짜 전문가’라는 자부심으로 여러분과 함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