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직공무원 > 공지사항
Loading...

이슈 타임라인

연도별 응원 영상 보기

2020년 2019년 2018년 2017년 2016년 2015년 2014년 2013년
서울시 6월 13일 6월 15일 6월 23일 6월 24일 6월 25일 6월 13일 6월 28일 8월 24일
지방직 5월 19일 6월 17일 6월 18일 6월 27일 6월 21일 7월 27일
간호사
국가고시
60회 국가고시 59회 국가고시 58회 국가고시 57회 국가고시 56회 국가고시 55회 국가고시 54회 국가고시 53회 국가고시


코로나19
피해지원성금
깊이가
다른 강의
간호학
강연
기부
캠페인
대의원
총회
2회 널싱런대회 세계간호사대회 국제간호협의회 1회
널싱런대회
간호
정책선포식

간호직 헤드라인

[뉴스] 의사 감독없이 채혈한 간호사, 의료법 위반 아냐
올린이: 관리자 조회: 2,849






의사 감독없이 채혈한 간호사, 의료법 위반 아냐



헌재, 음주측정 위해 채혈한 간호사 기소유예는 법리 오해에서 비롯



교통사고 단속중인 경찰관의 요청으로 진행한 음주측정 채혈의 위법성이 헌법재판소에서 뒤집혔다. 

헌법재판소는 지난 10월 9일 의사의 지시 · 감독 없이 혈액을 채취한 혐의로 검찰이 간호사 김모 씨를 기소유예한 것을 취소했다고 밝혔다. 

간호사 김모 씨는 2016년 3월 응급실을 찾아 온 경찰관의 요청으로 교통사고를 일으킨 A씨의 혈액을 채취했다. 이후 A씨의 음주 운전 혐의가 혈액을 통해 들어 나자 재판에 넘겨졌고 벌금 250만 원을 확정 받았다. A씨는 법정에서 “의사의 지시를 받지않고 의료법을 위반해 채취된 혈액이므로 증거 능력이 없다.”고 주장 했으나 법원은 받아 들이지 않았다. 

이에 A씨는 불만을 품고 해당 병원 및 간호사를 의료법 위반 혐의로 고발했고 인천지검 부천지청은 지난 3월 8일 김모 씨를 기소유예의 불기소처분을 내렸다.  

김모 씨는 “채혈 당시 담당 의사가 근무중이었고 절차와 규정에 따라 간호사로서 채혈을 했으므로 의료법 위반이 아니다”며 혐의를 인정한 기소유예 처분이 과하다며 헌법 소원을 냈다. 

헌재는 “해당 병원이 경찰의 협조 요청에 따라 음주측정을 위한 채혈을 지속적으로 해왔던 점, 당시 운전자의 동의 하에 채혈이 진행된 점, 당시 응급실에 의사가 상주했던 점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기소유예 처분은 수사 미진 및 법리 오해에 의한 자의적인 검찰권 행사”라고 판단했다. 
          


상담신청 자료신청
  • 명품;
    뛰어나거나 이름난 물건. 
    또는 그런 작품.
  • SINCE 1998, 역사전통으로 명품을 탄생시키다.

뿌리 깊은 나무는 흔들리지 않습니다.”

간호교육연수원은 1998년부터 간호직만을 교육해온
‘진짜 전문가’라는 자부심으로 여러분과 함께합니다.

x
x
  •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