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 2019년 | 2018년 | 2017년 | 2016년 | 2015년 | 2014년 | 2013년 | |
---|---|---|---|---|---|---|---|---|
서울시 | 6월 13일 | 6월 15일 | 6월 23일 | 6월 24일 | 6월 25일 | 6월 13일 | 6월 28일 | 8월 24일 |
지방직 | 5월 19일 | 6월 17일 | 6월 18일 | 6월 27일 | 6월 21일 | 7월 27일 | ||
간호사 국가고시 |
60회 국가고시 | 59회 국가고시 | 58회 국가고시 | 57회 국가고시 | 56회 국가고시 | 55회 국가고시 | 54회 국가고시 | 53회 국가고시 |
활 동 |
코로나19 피해지원성금 |
깊이가 다른 강의 |
간호학 강연 |
기부 캠페인 |
대의원 총회 |
2회 널싱런대회 세계간호사대회 국제간호협의회 | 1회 널싱런대회 |
간호 정책선포식 |
[뉴스] 간호사와 의사가 원하는 역량의 우선순위 달라 | ||
---|---|---|
올린이: 관리자 | 조회: 2,637 | |
간호사와 의사가 원하는 역량의 우선순위 달라 중대병원 김찬웅 교수 조사 결과 응급의학과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간호사와 의사가 원하는 역량의 우선순위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중앙대학교병원 김찬웅 응급의학과 교수가 의사 16명, 간호사 27명을 심층인터뷰 형식으로 조사한 결과로 서로 간의 이해를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조사 결과 간호사는 의사의 ‘의사소통 능력’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 반면 의사는 간호사의 ‘진료와 처치 능력’을 1순위로 원했다. 간호사는 의사에게 원하는 역량으로 진료 능력(효율적인 처방과 지시)과 관리 능력(위기 상황 통제와 제한된 의료자원 이용 능력)을 각각 2순위와 3순위로 뽑았다. 반면 의사는 간호사에게 원하는 역량으로 진료 능력에 이어 관리 능력, 의사소통 능력 순으로 뒀다. 간호사들은 의사와의 원활한 소통을 통해 환자를 빨리 처치해 주기를 원한 반면 의사들은 간호사들이 진료 능력으로 환자의 문제점을 정확히 진단하는 것에 더 포커스를 두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김찬웅 교수는 “서로 기대하는 역할이 무엇인지에 대해 수용할 필요가 있다.”며 서로를 이해하는 자료가 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러한 결과는 역할과 책임에 따른 입장의 차이라는 해석도 있다. 간호사들은 의사들과 더 많은 대화와 소통을 통해 응급상황에서 효율적으로 대처하길 원하는 것이 당연한 것이다. 간호사들 역시 의사가 소통에 관심이 없는 것이 아니라 원활한 진료를 위해 간호사들에게 원하는 역량의 순위가 다름을 이해해야 한다. 이번 조사를 통해 의사와 간호사는 근본적으로 다른 생각을 갖고 있지 않음을 알 수 있었고 같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서로를 이해하는 출발점이 되어야 한다고 김찬웅 교수는 강조하였다. |
“뿌리 깊은 나무는 흔들리지 않습니다.”
간호교육연수원은 1998년부터 간호직만을 교육해온
‘진짜 전문가’라는 자부심으로 여러분과 함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