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 2019년 | 2018년 | 2017년 | 2016년 | 2015년 | 2014년 | 2013년 | |
---|---|---|---|---|---|---|---|---|
서울시 | 6월 13일 | 6월 15일 | 6월 23일 | 6월 24일 | 6월 25일 | 6월 13일 | 6월 28일 | 8월 24일 |
지방직 | 5월 19일 | 6월 17일 | 6월 18일 | 6월 27일 | 6월 21일 | 7월 27일 | ||
간호사 국가고시 |
60회 국가고시 | 59회 국가고시 | 58회 국가고시 | 57회 국가고시 | 56회 국가고시 | 55회 국가고시 | 54회 국가고시 | 53회 국가고시 |
활 동 |
코로나19 피해지원성금 |
깊이가 다른 강의 |
간호학 강연 |
기부 캠페인 |
대의원 총회 |
2회 널싱런대회 세계간호사대회 국제간호협의회 | 1회 널싱런대회 |
간호 정책선포식 |
[뉴스] 2020년 간호사 11만 명 부족 | ||
---|---|---|
올린이: 관리자 | 조회: 3,587 | |
보건의료인력 중장기 수급 전망 분석 결과 3년 뒤인 2020년 우리나라 간호사가 11만명이나 부족해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정부는 이번 분석을 바탕으로 의료 인력 수급 관리 대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3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2017년 주요 보건의료인력 중장기 수급전망’ 연구 결과에 따르면 3년 뒤 2020년이 되면 간호사가 11만 명 부족할 것으로 추산됐다. 2030년에는 부족 인력이 15만 8000명으로 늘어난다. 의사는 2020년 1800명, 2030년 7600명이 부족할 것으로 전망됐다. 약사는 같은 기간 각각 7000명, 1만명이 부족해진다. 반면 치과의사는 2020년 1500명, 한의사는 1000명씩 과잉공급 상태가 되고 2030년에는 그 규모가 각각 3000명, 1400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이는 의료인력 1인당 환자 수(2012년 기준)가 그대로 유지된다는 가정에 따라 예측한 것이다. 보고서는 신규 의료 인력이 꾸준히 배출되는데도 인력 부족 문제가 심각한 것은 환자 안전과 감염 관리 기준 강화, 간호·간병 통합 서비스 확대, 해외 환자 유치 증가 등으로 의료 인력 수요가 증가한 것이 주요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현재 우리나라 의료 인력 수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평균에 못 미치는 수준이다. 2015년 기준 OECD 회원국의 인구 1000명당 의료 인력은 의사 평균 3.3명, 간호 인력 9.5명이다. 한국은 한의사를 포함해 의사 2.3명, 간호조무사를 포함한 간호 인력 6명에 그쳤다. 이번 보고서는 2019년에 나오는 정기 의료 인력 수급 추계 연구의 중간 보고서다.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적정 규모의 의료 인력을 충원할 수 있도록 신규 인력 배출 규모를 늘리고 유휴 인력 재고용을 추진하며 경력 단절을 방지하는 등 보건의료인력 중장기 수급 관리 대책을 조속히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뿌리 깊은 나무는 흔들리지 않습니다.”
간호교육연수원은 1998년부터 간호직만을 교육해온
‘진짜 전문가’라는 자부심으로 여러분과 함께합니다.